interface와 @interface의 차이
AOSP 코드 보다가
AOSP 코드 보다가
Effective Java 2/E를 공부하며 정리한 내용입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장황하게 @hide, @SystemApi의 설명을 한 이유는 이 Reflection을 위해서였다. 우리 팀은 종종 Reflection을 통해서 API를 호출하는데, 사실 자주 쓰면서도 정확하게 이해하고 쓰지는 않았던 것 같다.
Github.io에 블로그를 만들고 처음 쓰는 포스팅 개발 경력 무려 8년차 하지만 나에게 8년동안 뭘 했냐고 물어보면 그냥 일 열심히 했는데요? 라는 말 외에는 떠오는 말이 없어서 더 늦기 전에 개발 기록 겸 포트폴리오 제작을 시작하기로 했다. 티스토리랑 github.io 중...
친구에게 블로그를 보여줬더니 댓글을 달고싶다고 했다.
안드로이드의 버전이 높아질수록 Google에 OEM이나 3rd party app에 대해 제한하는 것들의 범위가 점점 넓어지고 있다. preload app인데도 불구하고 framework의 api를 사용하지 못하는 것 뿐만 아니라, 나아가서는 framework를 updatable하게...
Android application을 개발하면서 Context를 모를수는 없다. 하지만 누군가가 나한테 Context가 뭐야? 라고 물어보면 아 그거 있잖아…그거.. 정도로밖에 설명이 안된다.
Java 언어로 배우는 디자인 패턴 입문을 공부하며 정리한 내용입니다.
Java 언어로 배우는 디자인 패턴 입문을 공부하며 정리한 내용입니다.
Android Instrumented 테스트를 위한 build.gradle 만들기